본문 바로가기
  • 내 주식도 날아갈 날이 오겠지~!!
국내주식

[국장분석 시리즈]지누스

by Me2Ant 2025. 4. 8.
728x90
반응형
SMALL

📢 [지누스(013890) 주가 전망 & 투자 가치 분석! (미국 관세 이슈부터 향후 전략까지)] 📢

안녕하세요, 주식 블로그에 놀러 오신 여러분!

오늘은 매트리스 업계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뽐내고 있는 지누스(013890)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지누스가 최근 미국 관세 정책 이슈로 인해서 주가가 출렁이고 있는데요. 저 역시 지누스의 압축 매트리스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들었는데, 이 회사가 1979년부터 시작해 지금의 위치에 오기까지 결코 평탄치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지누스의 역사부터 최근 실적과 관세 문제, 그리고 앞으로의 주가 전망까지 꼼꼼하게 살펴보려고 해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편하게 따라오세요~!”


 

목차

  1. 🧐 지누스는 어떤 회사인가요?
  2. 💵 지누스의 재무 & 실적 한눈에 보기
  3. 📉 주가 흐름 & 기술적 분석
  4. 🌏 시장 환경 & 경쟁 구도
  5. 🚀 향후 전망 & 투자 전략
  6. ⚖️ 리스크와 기회 요인
  7. 🤔 개인적인 한마디 & 마무리
  8. FAQ

 


1. 🧐 지누스는 어떤 회사인가요?

🔸 역사 & 설립

지누스는 원래 1979년 3월에 ‘진웅기업’으로 설립되었다고 해요.

그 당시에는 텐트랑 캠핑용품을 만드는 기업이었는데, 2000년대 중반부터 매트리스, 침대 프레임, 가구 쪽으로 확! 사업을 전환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이 쉽지는 않았죠. 2004년에 화의절차를 신청했고, 코스피 상장도 폐지됐다가 2014년에야 화의절차를 끝내고, 2019년 코스피에 재상장한 아주 파란만장한 히스토리를 갖고 있습니다.

2022년 7월부터는 현대백화점 그룹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됐죠.

정말 드라마틱한 변화의 연속이에요! 저도 처음에는 “매트리스 회사가 왜 이렇게 스토리가 많지?” 생각했는데, 파고들면 들수록 영화 같은 기업사라서 재밌더라고요. ㅎㅎ

🔸 주력 제품: 압축 포장 매트리스의 혁신

지누스 하면 뭐니뭐니해도 **압축 포장 매트리스(롤팩 매트리스)**가 대표적입니다.

이걸로 미국 시장에서 아주 신박한 바람을 일으켰다고 해요.

원래 침대 매트리스를 일반 트럭으로 옮기려면 부피가 너무 커서 5개 정도 실으면 끝인데, 지누스의 압축 매트리스는 50개 상자를 한 번에 실어낼 수 있다고 하죠.

물류 쪽에서 효율이 어마어마하니, 유통업체 입장에서도 당연히 군침이 돌겠죠?

이 기술적 혁신 덕분에 아마존에서 매트리스와 침대 프레임 부문 베스트셀러 자리를 계속 지키고 있다고 합니다.

숫자로 보면 연간 판매량이 1,100만 개 이상이라는데, 평균 3초에 1개씩 팔린다고 하니 “대체 이게 무슨 초대박 상품?”이라고 놀랄 수밖에 없어요.

🔸 글로벌 시장 진출 & 주요 자회사

지누스는 미국, 중국, 캐나다, 호주, 인도네시아,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 등 글로벌하게 자회사를 운영 중이라고 해요.

특히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는 생산이나 물류 관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거점으로 꼽힙니다.

미국 시장 의존도가 79~83% 정도나 되니, 아무래도 현지 생산기지가 필수적이죠.

최근에는 중국 상하이에 1호 매장을 열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칠레, 뉴질랜드에도 신규 법인을 세우면서 “미국에만 너무 의존하지 말자”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요.


2. 💵 지누스의 재무 & 실적 한눈에 보기

🔸 매출 추이와 이익 변동

  • 2024년 매출액: 약 2,063억 원 (2023년 2,195억 원 대비 6.0% 감소)
  • 2024년 영업이익: 약 -142억 원 (2023년 52억 원 대비 -376.5%)
  • 2024년 당기순이익: 약 -104억 원 (전년 대비 -289.8%)

솔직히 2023년에 비해 2024년에 매출도 줄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적자로 전환될 만큼 악화됐습니다.

이유로는 “글로벌 경기 침체, 소비 둔화, 물류비 상승, 재고 문제” 등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해요.

지누스가 주로 공략하는 미국 시장이 아직 완벽하게 살아나지 못했으니, 당연히 타격이 크겠죠.

그나마 2025년 들어서는 충당금 환입과 비용 구조 재조정 같은 요소들로 인해 실적이 다소 개선될 거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일부 증권사는 1분기에 영업이익이 꽤 크게 튈 거라는 분석도 내놨다고 하네요.

🔸 부채 및 현금흐름 상황

2024년 말 재무상태표를 보니까 자산총계가 1조 1,922억 원, 부채총계가 5,195억 원이고, 자본총계는 6,727억 원 정도랍니다.

부채비율이 34.80%로 나쁘지 않지만, 최근 1년간 부채가 2,245억 원 증가했다고 해요.

한편 2025년 3월 기준으로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1,338억 원이고, 12개월 내 만기가 도래하는 미수금이 2,684억 원이라고 합니다. 단기 유동성은 어느 정도 괜찮아 보이는데, **유동부채(4,291억 원)**가 생각보다 커서 현금과 미수금 합쳐도 부족분이 1,172억 원 정도 된다는군요.

즉,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얘기죠.

다만 현대백화점 그룹의 계열사이기도 하고, 브랜드 파워가 있으니 자금 조달이 아주 막막하진 않을 거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 2024년~2025년 주요 지표

아래는 2024년 12월 기준 주요 재무 지표를 요약해놓은 표인데요:

구분 금액(억원) 전년 대비 변동률
매출액 2,063 -6.0%
영업이익 -142 -376.5%
당기순이익 -104 -289.8%
자산총계 11,922 14.5%
부채총계 5,195 25.0%
자본총계 6,727 7.3%
부채비율 34.80% -
매출총이익률 28.06% -
영업이익률 -3.3% -
순이익률 -3.42% -

코로나 직후가 아니라 이제는 엔데믹 시대로 접어들었음에도 지누스가 이렇게 힘든 시기를 겪는 건, 역시 관세 문제미국 시장에서의 소비 부진이 가장 큰 이유인 듯합니다.


2025년 4월 7일(월)

3. 📉 주가 흐름 & 기술적 분석

🔸 과거 주가 변동 추이

2025년 4월 7일 주가가 15,310원이었고, 그 전날 대비 6.82%나 떨어진 수치입니다.

관세 소식 한 방에 이렇게 휘청거리는 걸 보면, “미국 시장 의존도가 얼마나 큰지” 체감이 확 되죠.

2025년 1월에는 주가가 26,800원 정도였는데, 불과 3개월 만에 -40% 정도 빠진 셈입니다.

이전에도 2020년대 초반에는 시가총액이 1조 원을 넘나들었고, 2021년에는 1조 2천억 원 정도까지 갔었는데요.

최근 몇 년 새 시총이 계속 떨어져왔다는 게 눈에 띕니다.

🔸 거래량 & 관세 영향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거래량이 크게 터지는 건 보통의 일이지만, 지누스도 예외가 아닙니다.

2025년 1월 초에는 하루 거래량이 20만 주를 훌쩍 넘길 정도로 관심이 높았는데요.

그 후 관세 발표로 인해서 급락하는 순간에는 또 엄청나게 많은 물량이 쏟아져 나왔을 거라고 추정됩니다.

이처럼 “관세가 오르느냐, 아니면 반덤핑이 더 심해지느냐” 같은 소식은 지누스의 주가에 직결되는 핵심 이슈이므로, 투자하려면 꼭 체크하셔야 돼요!

🔸 기술적 지표 (볼린저 밴드 등)

볼린저 밴드를 적용해보면, 상단선 부근에서 보통 매도 시점, 하단선 부근에서 매수 시점으로 보긴 하는데요.

최근처럼 관세로 인한 급락은 “테크니컬하게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문제는 펀더멘털적 불안감이 가시지 않았다는 거죠.

즉, 단순히 차트가 저가 매수 시그널을 줄지라도, 관세 문제 해결 여부가 중요하다는 점을 잊으면 안 됩니다.

"기술적 반등이 와도 바로 먹튀해야 하나?"라는 고민이 생길 수밖에 없겠죠.


4. 🌏 시장 환경 & 경쟁 구도

🔸 글로벌 매트리스 & 가구 시장 현황

매트리스와 가구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꽤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요.

특히 중국은 세계 2위의 거대한 시장이고, 미국은 여전히 압도적인 1위죠.

온라인으로 침구류와 가구를 구매하는 트렌드는 코로나를 거치며 확실히 자리 잡았고요.

지누스 입장에선 압축 포장 기술이 온라인 판매에 최적화된 강점이라, 이 부분에서 꾸준히 선두를 달리는 편입니다.

다만, 코로나 때는 “집콕” 분위기가 강해 매트리스 수요가 확 늘었는데, 이제는 다소 둔화되는 부분도 있다는 점이 변수예요.

🔸 반덤핑 관세 이슈 & 규제 동향

지누스에게 가장 뼈아픈 건 미국 반덤핑 관세 문제입니다.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만들어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매트리스에 높은 관세가 매겨지고 있거든요.

지누스는 미국 조지아주에도 생산기지를 두고 있어서 어느 정도 완충 작용은 한다고 해도, 아직 상당수 물량을 해외에서 들여오는 만큼 관세가 세게 나오면 영업이익에 큰 타격이 불가피하죠.

🔸 경쟁 업체 & 온라인 시장 트렌드

매트리스 업계는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요.

지누스처럼 압축 포장을 표방하는 다른 업체들도 하나둘 생겨나면서, 예전만큼의 독보적인 혁신은 아닐 수도 있겠죠.

하지만 여전히 지누스가 아마존에서 베스트셀러를 유지하고 있고, 물류 효율성이나 가격 경쟁력 면에선 탄탄한 노하우를 갖춘 편입니다.

특히 최근 트렌드는 “친환경 소재”나 “마약 매트리스”처럼 폭신하고 편안한 제품, “폼 매트리스” 같은 감성 포인트가 인기인데, 지누스도 해당 부분에서 꾸준히 R&D를 한다고 하니, 앞으로의 결과가 궁금해지네요.


5. 🚀 향후 전망 & 투자 전략

그렇다면, 지누스의 앞으로 주가 향방은 어떻게 될까요? 재밌는 게, 몇몇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2025년 1분기에 충당금 환입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하더라고요.

그럼 “실적 개선→주가 반등” 시나리오가 가능할 수도 있죠.

하지만 여전히 “미국 관세 정책”이라는 커다란 불확실성이 있어요. 관세 문제가 해결되거나 완화되지 않으면, 또 한 번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따라서 “지금 당장 몰빵하기보단, 관세 이슈가 잠잠해지는 기미가 보이거나 실적 발표가 나온 뒤 접근하는 게 안전하다”는 견해가 많아요.

🔸 글로벌 채널 다각화 가능성

지누스는 최근 중국, 동남아 등 여러 국가로 진출을 시도하고 있어요.

사실 **미국 매출 의존도가 79~83%**나 되다 보니, 이걸 좀 낮춰야 안정적인 회사가 될 텐데요.

만약 중국 매장을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유럽 등 다른 지역에도 발을 넓혀서 분산이 잘된다면, 주가 리스크도 한결 줄어들겠죠.

🔸 스몰박스 등 신제품 & 현대백화점 그룹 지원

스몰박스 제품은 더욱더 포장 크기가 작아서, 운송 효율이 극대화된 형태라고 해요.

이렇게 물류비를 줄이면서 소비자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 “불황형 소비” 분위기에서도 나름 선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거기에 현대백화점 그룹의 지원도 무시 못 한다는 의견입니다.

현대백화점이 지누스 제품을 오프라인 매장이나 온라인 몰 등에서 적극적으로 같이 밀어줄 수 있잖아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면 매출 다각화에 큰 도움이 되겠죠.


6. ⚖️ 리스크와 기회 요인

🔸 리스크 요인

  1. 미국 관세 정책: 미국 시장 의존도가 너무 높아 반덤핑 관세가 세지면 실적에 직격탄.
  2. 글로벌 경기 침체: 가구나 매트리스는 고가 내구재여서, 경기가 안 좋으면 소비가 확 줄어듦.
  3. 원자재 가격 상승: 폼 매트리스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수익성 악화.
  4. 경쟁 심화: 압축 포장 기술을 따라 하는 업체 증가. 시장점유율 잠식 가능성.
  5. 부채 증가: 최근 1년간 부채가 2,245억 원 늘어서, 재무 부담 우려.

🔸 기회 요인

  1. 글로벌 채널 다각화: 중국, 일본, 유럽 등 신규 시장 성공 시 미국 의존도 완화.
  2. 현대백화점 그룹 지원: 계열사 편입에 따른 마케팅, 유통 시너지 기대.
  3. 신제품 개발: 스몰박스처럼 운송 효율이 더 좋아진 제품 출시로 비용 절감 및 시장 경쟁력 강화.
  4. 온라인 가구 시장 성장: 엔데믹 이후에도 온라인 구매가 생활화된 만큼 지누스에 유리.
  5. 불황형 소비: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을 중요하게 보는 소비자들에게 매력 어필 가능.

7. 🤔 개인적인 한마디 & 마무리

저는 실제로 지누스 매트리스를 써본 적이 있어요. 택배로 받았을 때 엄청 조그맣게 말려 있어서 신기했었는데, 포장을 풀자마자 스르륵 부풀어 올라서 “오! 이런 게 가능하구나!” 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 후로 지누스라는 회사에 호감이 생겼는데, 요즘 주가가 많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니 안타까운 마음이네요.

하지만 기업이 가지고 있는 “혁신 기술력”이나 “현대백화점 그룹 편입 후 시너지” 같은 장점이 잘 살아난다면, 중장기적으로 분명 회복할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관세 문제 같은 거시적인 리스크가 해결되어야 하겠지만요.

주식이란 건 늘 그렇죠. 모든 게 정답은 없고, 각자가 정보를 모으고 판단해서 투자할 뿐입니다.

지누스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미국 관세 정책 동향”과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시점”을 예의주시하시길!

저는 개인적으로 “급락 직후에 바로 매수하기보단, 조금 더 관망하면서 실적 호전 신호를 확인하는 전략”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8. ❓ FAQ

Q1. 지누스 주가가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을까요?
A1. 네, 미국 관세 이슈가 아직 명확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이 올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1분기 충당금 환입 등 호재가 현실화되면 기술적 반등을 기대해볼 수도 있죠.

Q2. 매수 시점은 언제가 적절할까요?
A2. 각자 투자 성향에 따라 다르지만, 1분기 혹은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실제로 실적 개선이 확인되었을 때 분할 매수하는 방법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좋아 보입니다.

Q3. 관세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으면 정말 투자하면 안 될까요?
A3. 완전히 ‘안 된다’고 보긴 어렵지만, 미국 관세 리스크가 크니 그 부분을 감수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그래도 지누스가 미국 현지 공장도 있고, 다른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으니 관세에 대한 완충장치가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

Q4. 배당은 주나요?
A4. 현재로선 적자 전환 등 재무 구조가 좋지 않아, 배당보다는 실적 개선과 기업 안정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배당 수익을 기대하기보단 주가 상승 모멘텀을 노리는 게 더 현실적일 듯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